오늘 시인은 세상 안에서 만나는 사람, 세상 안에서 만나는 자연의 소리를 가슴으로 듣고 이해하고 이야기한다.
시인 이택민의 ‘시로 여는 세상’.
시(詩)로 말하는 그가 우리 삶과 마주하여 전하는 따듯한 한마디는 오늘 우리에게 힘찬 위로가 된다. ‘모든 사람이 한 편 한 편의 시’라는 시인. 나를 닮은 시인의 하루와 감정의 물결 안에서 우리는 공감하는 시어들을 읽으며, 그 안에서 나를 찾고 만나게 된다.
진실된 삶의 언어들이 시어로 담겨 오늘 하루를 빛낼 때!
시가 건네는 따듯한 한마디 위로가 우리의 내일을 가슴 뛰게 한다.
<별을 보며 조금 옮겨 누운 자리>, <침묵이 걸린 나무>, <겨울 숲이 그립다>에 이은 6년 만의 네 번째 시집.
100편의 시가 전하는 담백한 이야기들. 시인 이택민의 시는 나와 이웃의 삶의 어제와 오늘을 말하는 이야기이다.
새벽 4시 40분, 매일 새벽의 시 쓰기. 세상을 여는 시가 그의 손을 거쳐 톡으로 세상에 나간다. 쓰다 보니 매일 내면을 보고 있는 느낌이라고 고백하는 시인. 그는 날마다 시를 쓰는데 아직도 시는 여물지 않고 부족한 내면만큼 부족하게 채워진다고 여전한 고백을 한다.
독자 대상
- 일상의 따듯함을 그리워하는 이들
- 삶의 길목에서 만나는 소중한 사람과 대상을 다시 발견하고 싶은 이들
도서 특징
- 정겨운 위트의 시어들이 우리 삶의 소소한 행복을 찾게 한다.
- 삶의 여정, 나와 너의 마음, 그리고 그리움, 사랑. 이 깊고 짙은 감정들이 담긴 시세계.

이택민
저자
김포에서 나고 서울에서 자라다.
2013년 4월 ‘월간 창조문예’에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으며, 매일 아침 시를 쓰면서 하루를 시작한다.
쓰인 시는 세상을 여는 인사와 같다.
시집으로는 《별을 보며 조금 옮겨 누운 자리》, 《침묵이 걸린 나무》, 《겨울 숲이 그립다》 외 다수의 동인지가 있다.